MySQL 5

40. [ JAVA ] API 문제 풀이 : Spring Boot와 MySQL (초기세팅)

문제 풀이를 하기전에 초기 세팅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문제풀이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사이트는 DBeaver,Spring Boot,Gibhubdp, intelliJ ,putty입니다.   DBeaver DBeaver 실행후 새로운 Databases생성 -> Table 생성  -> 컬럼생성  Spring BootSpring Boot에서 필요한 Dependencles를 선택후 각Project명및 내용기제를 해준후 파일을 다운로드 해줍니다. Gibhub  Gibhub에 new repository생성  서버 이름및 세팅 후 Create repository 생성 해주시면됩니다.  위와같이   new repository생성 된것을 볼 수있습니다. 이제 Spring Boot에서 다운받은 파일을 이동하겠습니다. ..

Install/API Install 2024.12.21

5. [ DB ] MySQL 테이블의 컬럼 설정

MySQL 테이블의 컬럼 설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MySQL 테이블의 컬럼 설정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NOT NULL 정의와 활용 (데이터 타입 지정) 'NOT NULL' 제약 조건은 MySQL에서 특정 컬럼이 NULL 값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1) NOT NULL 제약 조건의 중요성  (1) 데이터 무결성 유지NULL 값은 값이 없음을 의미하며, 잘못된 계산이나 예기치 않은 동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NOT NULL 제약 조건은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여 데이터의 완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2) 데이터베이스 설계테이블을 설계할 때, 반드시 값이 필요한 컬럼에 NOT..

DB/이론 2024.11.27

4. [ DB ] MySQL 테이블의 데이터 입력 (CRUD/Create-insert)

insert는  SQL에서 CRUD중 Create의  사용하여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추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MySQL에서 insert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Create :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삽입하는 작업)      Date 시트에 위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겠다는 코드 작성  use table_name 예: use test;   2. 데이터를 추가하는 SQL INSERT INTO table_name (column1, column2, ...)VALUES (value1, value2, ...);예: INSERT INTO customer (name, email, age)values("홍길동", ..

DB/이론 2024.11.26

3. [ API ] [ DB ] MySQL 에 테이블 생성 (컬럼과 데이터타입)

MySQL에 테이블 생성 전에 테이블과 칼럼을 알아보겠습니다. 1. 테이블과 칼럼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요소입니다. 테이블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입니다.주요 특징은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된 2차원 구조를 가집니다.특정 주제나 목적에 따라 데이터를 모아놓은 집합입니다. 최소 1개 이상의 칼럼을 포함해야 합니다. 컬럼은 테이블의 세로 방향 구성 요소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틀 역할을 합니다. 각 컬럼은 고유한 이름과 데이터 타입을 가집니다.동일한 테이블 내에서 칼럼 이름은 중복될 수 없습니다. 테이블과 컬럼은 SQL 명령어를 통해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고 관리..

DB/이론 2024.11.26

1. [ API ] [ AWS ]AWS의 RDS로 MySQL free tier 설치

설치설명에 앞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란?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자원, 데이터 저장, 소프트웨어, 플랫폼 및 기타 IT 관련 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클라우드 서비스는 필요한 리소스(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 저장소 등)를 필요한 만큼 요청하고 제공받는 온디맨드(on-demand)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시점에 적절한 양의 자원을 신속하게 할당받거나 반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원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IT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http:// aws.amazon.com 사이트 이동합니다. 루트 사용자 이메일을 사용하여 로그인 클릭 (개발자용)합니다. 이메일입력해..

Install/AWS Install 2024.11.25
home top bott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