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이론

3. [ API ] [ DB ] MySQL 에 테이블 생성 (컬럼과 데이터타입)

천재단미 2024. 11. 26. 16:47
728x90
반응형

MySQL에 테이블 생성 전에 테이블과 칼럼을 알아보겠습니다.
 
 
1. 테이블과 칼럼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요소입니다. 
 
 
테이블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주요 특징은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된 2차원 구조를 가집니다.
특정 주제나 목적에 따라 데이터를 모아놓은 집합입니다. 최소 1개 이상의 칼럼을 포함해야 합니다.
 
 
컬럼은 테이블의 세로 방향 구성 요소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틀 역할을 합니다. 각 컬럼은 고유한 이름과 데이터 타입을 가집니다.
동일한 테이블 내에서 칼럼 이름은 중복될 수 없습니다.
 
테이블과 컬럼은 SQL 명령어를 통해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고 관리합니다.

위와 같이 employee 테이블이라 하며 하단의 직원정보내용을  컬럼이라 합니다. 
 
 
 
데이터 타입컬럼에 저장되는 데이터 유형을 말하며,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의 종류와 특성을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본 데이터 타입과 사용자 정의 데이터 타입으로 구분하며, 기본 데이터 타입은 문자형, 실수, 소수, 자료형 등의 여러 데이터를 식별하는 타입입니다.
 
 
 
 
 
 
MySQL을 기초로 하여  데이터 타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숫자형 데이터 타입

 
 
 

정수형

BIT(M): 0과 1로 구성된 비트값을 저장
TINYINT(M): 작은 범위의 정수 저장
SMALLINT(M): 중간 크기의 정수 저장
MEDIUMINT(M): 더 큰 범위의 정수 저장
INT(M)/INTEGER(M): 일반적인 정수 저장
BIGINT(M): 매우 큰 범위의 정수 저장
 
 
 
실수형
 
DECIMAL(M,D): 정확한 고정 소수점 수를 저장 (최대 65자리)
FLOAT(M,D): 작은 범위의 부동 소수점 수를 저장
DOUBLE(M,D): 큰 범위의 부동 소수점 수를 저장

 
 
 

날짜 및 시간 데이터 타입

DATE: 날짜만 저장 (YYY-MM-DD)
DATETIME: 날짜와 시간을 함께 저장 (YYYY-MM-DD HH:MM:SS)
TIMESTAMP: UTC 기반 시간 저장  (1970-01-01 00:00:01 UTC ~ 2037년)
TIME: 시간만 저장 (HH:MM:SS)
YEAR: 연도만 저장 (1901 ~ 2155)

 
 
 
 

문자형 데이터 타입

 
 
 

고정 및 가변 길이 문자열
CHAR(M): 고정 길이 문자열을 저장 (최대  255자)
VARCHAR(M): 가변 길이 문자열을 저장 (최대 65,535자)

 
 
텍스트 데이터 길이별 저장 데이터 타입
TEXT(기본)
MEDIUMTEXT (최대 16,777,215자)
LONGTEXT(최대 4,294,967,295자)
 
 
바이너리 데이터를 다양한 크기로 저장가능한 데이터 타입 
TINYBLOB(255 바이트)
BLOB(65,535 바이트/약 64KB) 
MEDIUMBLOB(16,777,215 바이트/약 16MB)
LONGBLOB(4,294,967,295 바이트/약 4GB)
주의할 점은 불필요하게 큰 BLOB 타입을 사용하면 메모리와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크기의 타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열거형 데이터 타입
ENUM(단일선택), SET(다중선택, 최대 64개)
 
 
 
MySQL의 다양한 데이터 타입들은 각기 다른 요구에 맞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2. MySQL 에 테이블 생성해 보겠습니다.
 
 
 
DBeaver를 실행합니다.
 

 
Database에서 View Database를 클릭합니다.
 

 
Database name에 기재하고자 하는 내용을 기재하면 됩니다. (예: tset)
 

 

 
Create New Table를 클릭하여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제시된 실습문제를 바탕으로 하여 위와 같이 해당 테이블과 컬럼을 입력합니다.  
 
 
 
 

728x90
반응형
ho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