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all/API Install

51. [ JAVA ] Spring Boot를 이용한 API 통신 : Naver API 세팅

천재단미 2025. 1. 10. 13:01
728x90
반응형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네트워크 API 통신

주로 사용되는 두 가지 라이브러리는 RestTemplate과 WebClient입니다.

 

네트워크 API 통신종류 

 

1. RestTemplate

 

RestTemplate은 Spring 3.0부터 제공된 오래된 HTTP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입니다.

특징:

  • 동기식, 블로킹 방식으로 동작
  •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사용
  • RESTful 서비스 호출에 적합한 다양한 메서드 제공
  • 사용하기 쉽고 직관적인 API

장점:

  •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코드 구조
  • 풍부한 레퍼런스와 예제 존재

단점:

  • Spring 5.0 이후로 deprecated 되어 더 이상 권장되지 않음
  • 블로킹 방식으로 인한 성능 제한

 

2. WebClient

 

WebClient는 Spring 5.0에서 도입된 최신 HTTP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입니다.

특징:

  • 비동기식, 논블로킹 방식으로 동작
  • 단일 스레드, 이벤트 루프 기반 처리
  • Reactor 프로젝트 기반의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지원

장점:

  • 높은 성능과 확장성
  • 비동기 처리로 인한 효율적인 리소스 사용
  • Spring WebFlux와 완벽한 통합

단점:

  • 학습 곡선이 상대적으로 높음
  •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익숙해져야 함

 

선택 가이드

  1. 소규모 애플리케이션이나 간단한 API 호출의 경우 RestTemplate도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
  2.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이나 높은 동시성이 요구되는 경우 WebClient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한다면 WebClient 사용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4. 성능 테스트 결과, 동시 사용자가 1000명을 넘어가면 WebClient가 RestTemplate보다 월등히 뛰어난 성능을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Spring 커뮤니티에서는 RestTemplate 대신 WebClient 사용을 강력히 권장하고 있으며, 특히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이나 높은 성능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WebClient가 더 적합한 선택이 될 것입니다.

 

 

위 프레임워크를 포함하여 하단의 프레임워크를 추가하여 SpringBoot를 생성합니다. 

 

네이버 API를 활용하여 진행하려고 합니다. 

 

네이버 API 설정

 

 

 

 

 

 

728x90
반응형
home top bott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