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에서 연산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새로운 값을 산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1. 연산자와 피연산자
- 연산자(operator):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 등)
- 피연산자(operand): 연산자의 작업 대상(변수, 상수, 리터럴, 수식)
- 연산자는 피연산자로 연산을 수행하고 나면 항상 결과값을 반환
대입 연산자는 우변의 값을 좌변에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연산결과로 반환
2. 식과 대입연산자
- 식: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조합하여 계산하고자하는 바를 표현한 것
- 식을 평가(evaluation)한다: 식을 계산하여 결과를 얻는 것
하나의 식을 평가하면, 단 하나의 결과를 얻음 - 대입 연산자 =를 사용해 변수와 같이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에 결과를 저장
식의 평가결과를 다른 곳에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면 변수에 저장하지 않고 println 메서드의 괄호 안에 직접 식을 써도 됨
3. 연산자 종류



System.out.println( (a + b ) / 2 ); |
주의사항 : int 타입끼리의 나눗셈은 결과도 int로, 소수점 이하는 버려집니다. 복잡한 연산식에는 괄호를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System.out.println( (a + b ) / 2.0 ); |
위와 같이 연산식에서 정수를 실수로 변경하여 진행하면 소수점 이하의 잡이 도출되게 됩니다.
그전에 실수로 세팅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4. 논리 연산표

System.out.println( (a > 5) && (a < 20) ); True && True == True System.out.println( (a > 5) && (a < 8) ); True && True == True System.out.println( (a > 5) || (a < 7 ) ); True || False == False |
5. 연산자 우선순위
자바에서의 연산자 우선순위는 여러 연산자가 포함된 표현식을 평가할 때 어떤 연산자가 먼저 수행되는지를 결정합니다.
1. 기본 규칙 이해
(1) 괄호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집니다.
(2) 산술 연산자는 곱셈과 나눗셈이 덧셈과 뺄셈보다 우선합니다.
(3) 비교 연산자는 논리 연산자보다 우선합니다.
(4) 대입 연산자는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집니다.
2. 기억하기 쉬운 순서
(1) 단항 > 이항 > 삼항: 단항 연산자가 가장 먼저, 그다음 이항, 마지막으로 삼항 연산자가 수행됩니다.
(2) 우선순위 흐름: 괄호 > 단항 > 산술(곱셈, 나눗셈) > 산술(덧셈, 뺄셈) > 비교 > 논리(AND, OR) > 대입
3. Mnemonic 기법 활용
"괄호가 단단히 (괄호) 잡고, 곱하기와 나누기는 덧셈과 뺄셈을 지켜보며, 비교를 통해 진실을 판단하고, 논리적으로 연결한 후, 마지막으로 대입으로 정리한다."
4. 표로 정리
아래와 같은 표를 만들어 시각적으로 정리하면 기억하기 쉽습니다.

다양한 표현식을 작성하고 결과를 예측해보면서 실제로 적용해 보는 것이 기억에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자바의 연산자 우선순위를 효과적으로 기억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JAVA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 JAVA ] 함수 (fanction) (1) | 2024.12.10 |
---|---|
20. [ JAVA ] 배열(array) (1) | 2024.12.09 |
19. [ JAVA ] 반복문 ( For && while ) (1) | 2024.12.09 |
18. [ JAVA ]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s) (0) | 2024.12.09 |
16. [ JAVA ] 규칙과 변수(variable) (0) | 2024.12.06 |